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바둑의 역사 3 (근대바둑의 성립과 발전, 한국 근대 바둑의 시작) 다. 바둑의 역사  1. 근대바둑의 성립과 발전  앞서 이야기한 것과 같이 고대 중국에서 발명된 이래 한국과 일본에 전파되어 일부 상류층 사이에서만  행해지던 바둑이 본격적으로 근대적인 게임의 토대를 갖추게 된 것은 중세 일본에서부터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일본 막부(幕府) 시대에 바둑은 국기(國技)로 적극 지원을 받으면서 바야흐로 르네상스를  맞게 된다. 바둑을 업(業)으로 삼는 기사(棋士) 제도와 본인방(本因坊)등의 바둑가문이  생기고, 이들에 의해 룰이 정비되며 각종 이론, 정석이 태어나는 등 비로소 근대경기로서의 틀과 체계가 세워졌던 것이다.  그리고 20세기에 이르러 가문세습제도 대신 협회(일본기원)와 프로제도가 탄생하고,  신문사들이 기전의 스폰서로 나서면서 오늘날 현대바둑의 틀을 갖추게 된.. 더보기
바둑의 역사 2 (Why, How, where? 가장 오래된 기보는?) 나. 바둑의 역사 1. 바둑은 왜 만들어졌을까?   1편에서의 요임금창제설에 따르면 바둑은 ‘어리석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들어졌다. 사람들은 바둑을 ‘인생에 있어서 축소판’이라고 하는데, 성왕이 아들에게 인생을 가르쳐주는 교육의 도구가 바둑이었다는 얘기일 것으로 추측된다.하지만 이 또한 사실 '어리석은 아들'이라면 바둑을 배우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모순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정확성은 떨어진다.바둑판 한 가운데의 점을 천원(天元)이라고 부른다는 것과, 바둑판 교차점이 361개인 것이 음력의 날짜 수와 비슷하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바둑이 원래는 역학(易學)이나 천문학의 도구였다는 설도 있으며, 천체 관측설농경(農耕)사회였던 고대에는 별들의 움직임을 관측하는 일이 매우 중.. 더보기
바둑의 역사 1 ( who, when?) ※ 시작하기에 앞서.. 바둑이 정확히 언제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그 어떤 누구도 정확하게는 모른다.하지만 전세계에 수많은 불가사의한 유적들이 있는 것처럼 바둑의 역사 또한 불가사의한 부분이 존재한다. 모두 추측일뿐이지만 현재까지 제기된 주장들에 대해 파헤쳐 보도록 하자. 가. 바둑의 역사 1. 바둑은 누가 만들었을까? 바둑을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인물은 중국 성왕 요(堯)임금이다. 중국의 박물지(博物志)에 나온다는 “요조위기 단주선지(堯造圍棋 丹朱善之, 요임금이 바둑을 만들었고, 단주가 그것을 잘했다)”가 요임금 창제설의 근거이다. 그러나 박물지는 일종의 ‘지괴소설(志怪小說, 괴상하고 특이한 것을 기록한다는 의미로, 초자연적이고 불가사의한 미스테리를 다룬 글)’로서 그 내용을 그대로 믿기 어렵고, .. 더보기

반응형